맨위로가기

무성 경구개 비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성 경구개 비음은 조음 기관 내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만들어지는 무성음의 한 종류이다. 혀를 경구개에 대고, 성대를 울리지 않으며, 코와 입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는 비음이자, 혀의 중앙으로 기류가 흐르다 혀 옆으로 빠져나가는 중설음이며, 폐에서 발성 기관으로 공기가 흘러나오는 폐장기류음이다. 바니와어, 미얀마어, 페로어, 흐몽어, 이아이어, 아이슬란드어, 할라파 마사텍어, 수미어 등 여러 언어에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강음 - 양순 비음
    양순 비음(/m/)은 입술을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는 유성 비음으로,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며 구개화, 연구개화, 인두화 등의 변이음이 존재한다.
  • 비강음 - 치경 비음
    치경 비음(/n/)은 혀 앞쪽이 잇몸에 닿아 코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유성 비음으로, 혀의 접촉 위치에 따라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며, 한국어를 포함한 많은 언어에서 사용된다.
  • 경구개음 - 무성 경구개 설측 접근음
  • 경구개음 - 무성 경구개 마찰음
    무성 경구개 마찰음은 혀 앞부분과 경구개 사이에서 혀 중앙의 틈새로 기류를 내보내 마찰을 일으켜 내는 소리이며, 한국어 '힘'의 'ㅎ', 일본어 '히' 등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 언어학에 관한 - 중설 모음
    중설 모음은 혀의 위치가 입의 중앙에 위치하여 발음되는 모음으로, 혀의 높이, 앞뒤 위치, 입술의 둥글림 여부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된다.
  • 언어학에 관한 - 유성음
    유성음은 허파에서 나온 공기가 성대를 진동시켜 만들어지는 소리이며, 모음과 일부 자음이 이에 해당하고, 언어에 따라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별이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무성 경구개 비음
음성 기호 정보
IPA 기호ɲ̊
IPA 기호 2ɲ̥
X-SampaJ_0
음성 기호 (angbr IPA)ɲ̊
ɲ̥
n̠̊ʲ
n
ɲ̟̊
ɲ
ȵ̊
ȵ
관련 음성 기호ɕ
ʑ
음성 설명무성 경구개 비음

2. 특징


  • 조음기관 내 공기 흐름을 차단하여 만드는 무성음이다.
  • 발성 기관 속 공기 흐름을 차단하고, 비강구강으로 흐르게 해서 내는 비음이다.
  • 혓바닥을 경구개에 대는 경구개음이다.
  • 조음할 때 성대가 울리지 않는 무성음이다.
  • 코와 입을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가는 비강음이다.
  • 기류가 혀의 중앙으로 가다가 혀 옆으로 빠져나가는 중설음이다.
  • 발성 방법은 인후나 입이 아니라 폐로부터 발성기관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폐장기류음이다.

2. 1. 조음 방법


  • 조음기관 내 공기 흐름을 차단하여 만드는 무성음이다.
  • 발성 기관 속 공기 흐름을 차단하고, 비강구강으로 흐르게 해서 내는 비음이다.
  • 혓바닥을 경구개에 대는 경구개음이다.
  • 조음할 때 성대가 울리지 않는 무성음이다.
  • 코와 입을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가는 비강음이다.
  • 기류가 혀의 중앙으로 가다가 혀 옆으로 빠져나가는 중설음이다.
  • 발성 방법은 인후나 입이 아니라 폐로부터 발성기관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폐장기류음이다.

2. 2. 조음 위치

혓바닥을 경구개에 대는 경구개음이다.

무성 경구개 비음

3. 언어별 사용

무성 경구개 비음은 드물게 나타나는 소리이지만, 몇몇 언어에서 발견된다.

언어단어IPA의미비고
미얀마어ညှာ|냐my[ɲ̊à]'사려 깊은'
페로어einki / onki|에인키 / 온키fo[ˈɔɲ̊t͡ʃɪ]'아무것도'페로어 음운론 참조
흐몽어[ɲ̊a˧˦]'무거운'유성음 [ɲ]와 대조됨. 그린 흐몽어에서는 /ɲ/와 합쳐짐.
이아이어[ɲ̊øːk]'헌신하다'
아이슬란드어banki|반키is[ˈpäu̯ɲ̊cɪ]'은행'아이슬란드어 음운론 참조
할라파 마사텍어hñá|흐냐maj[ɲ̊á]'솔'
수미어 (하부)[ʃɐ̃˦ɲ̟̊ɛ˦]'깨끗한'치경구개음; 티베트어 차용어에서 주로 나타남.
바니와어 (호호데네 방언)[ĩ:ɲ̊ə]'먹다'


3. 1. 사용 예시

언어단어IPA의미비고
미얀마어ညှာ|냐my[ɲ̊à]'사려 깊은'
페로어einki / onki|에인키 / 온키fo[ˈɔɲ̊t͡ʃɪ]'아무것도'페로어 음운론 참조
흐몽어[ɲ̊a˧˦]'무거운'유성음 [ɲ]와 대조됨. 그린 흐몽어에서는 /ɲ/와 합쳐짐.
이아이어[ɲ̊øːk]'헌신하다'
아이슬란드어banki|반키is[ˈpäu̯ɲ̊cɪ]'은행'아이슬란드어 음운론 참조
할라파 마사텍어hñá|흐냐maj[ɲ̊á]'솔'
수미어 (하부)[ʃɐ̃˦ɲ̟̊ɛ˦]'깨끗한'치경구개음; 티베트어 차용어에서 주로 나타남.
바니와어 (호호데네 방언)[ĩ:ɲ̊ə]'먹다'


4. 추가 정보



무성 경구개 비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닿소리가 만들어지는 방법은 비음이다.
  • 닿소리가 혀의 중앙 부분과 입천장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경구개이다.
  • 발성 기관을 이용하는 성문에서 무성 단음을 낸다.
  • 입을 통하지 않고 코로만 공기를 내보내며 내는 비음이다.
  • 닿소리가 혀의 중앙으로 공기가 나가면서 만들어지는 중앙 발음이다.
  • 닿소리가 허파로부터 공기가 나가면서 만들어지는 폐음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